완주문화재단

2019 다름의 가치 운영 개요


협력단체(주체)

30개
참여자 수

4,044명
프로그램 수

15개



연결

완주의 다양한 공동체와 문화다양성 
연결

1) 경제형 공동체 사업, 아파트 르네상스 
 사업, 문화도시 사업, 마을교육공동체 활동내  문화다양성 문화예술프로그램 기획 운영
2) 완주에서 활동하고 있는 공동체의 사업에   문화다양성 관점 반영
3) 정책적으로 지원 관리되고 있는 장애인, 
 이주여성, 노인 관련 기관, 단체 사업과의 
 연계 사업 모색
발견

완주의 문화다양성 발견

1) 이미 촉발된 문화다양성 활동 주체와 내용    재발굴
2) 문화다양성 관련 활동을 지속적으로 할 수    있도록 지원 및 사업 개발 기회 제공
표현

사회소수자의 문화다양성 표현 권리 보장

1) 이주노동자, 유학생 대상으로 진행되는 
  사업내용에 문화다양성 관점 반영 견인
2) 사회소수자가 주체가 되어 지역예술인과      협업을 통한 자신의 문화표현과 교류 활동 
  지원
활동 체계화

완주문화다양성발군단 < 소수다 > 활동 체계화

1) 완주의 문화다양성 발굴-기록-특화프로   그램 실행 주체자로서 < 소수다 > 활동 체계화
2) < 소수다 > 구성원 충원과 개인, 공동체, 
 문화예술 및 사회소수자 당사자, 관련 기관, 
 단체 관계자 등으로 다양화 추진
3) 완주 문화다양성 특화 프로그램 기획 운영   주체로서 < 소수다 > 성장
가치 반영

완주군 정책과 사업에 문화다양성 
가치 반영

1) 완주군 359개 조례의 문화다양성 내용 분석
2) 2019년부터 완주문화재단의 추진사업에    문화다양성 가치 반영을 위한 구조 마련
인식 확산

문화다양성 이슈화와 인식 확산

1) 완주 문화다양성 자료 아카이빙: 문화예술   위원회 문화다양성 운영 웹사이트 자료공유,  군립도서관 및 작은 도서관 등 자료 비치·배포
2) 완주마을소식지 '완두콩(월간)'에 문화
  다양성 관련 기사 연재
3) 문화다양성 확신을 위한 무지개다리사업      홍보

프로그램 소개
[완주문화다양성 발굴단 '소수다']
문화다양성에 관심 있는 완주군민을 통한 완주 문화다양성 사례 조사, 기록, 공유 및 프로그램 
기획, 운영
​​
[완주문화다양성영화제 '되어보는 영화제']
영화를 매개로 자신의 고정된 위치를 버리고 다른 이의 입장이 되는 경험을 제공하며, 문화다양성 개념 확산

[호남권 문화다양성 포럼]
문화다양성이 중요한 가치로 고려되어져야 하는 것에 대한 공동의 가치 인식 및 문제 제기

[완주문화다양성 찾기]
- 유학생  레인보우 푸드(완주문화다양성발굴단의 유학생 모국 문화를 통한 완주군민과의      소통계기 마련)
- 완주 이주노동자, 유학생 집담회(이주노동자, 유학생 대상 사업 내용에 문화다양성 관점 
 반영 및 문화표현과 교류 활동 지원)
- 완주칩쿠키(이주민과 선주민이 삶의 경험과 조건을 공유하고 공감할 수 있는 프로그램)
- 마을 경로당으로 찾아가는 무지개다리사업(경로당으로 찾아가는 다문화 이해 교육을 통해  문화적 갈등 해소 기회 마련)
- 일단 페미니즘(다양한 방법으로 농촌에서 여성으로 살아가는 이야기를 공유하고 기록)

[완주문화다양성 콘텐츠 제작 및 공유]
- 완주마을 소식지 '완두콩' 7회 기사 연재
- 문화다양성 '다가치 다르다' 카드제작 및 프로그램 개발
- 찾아가는 문화다양성 상영회

[완주문화다양성 정책준비위원회]
- 정책TFT : 무지개다리사업 공유, 완주 문화다양성 관련 현장 이슈, 쟁점, 과제 자유 토의 
  및 초안 발표
​​단어을 클릭하시면 해당 화면으로 넘어갑니다.


‌‌‌‌‌‌‌‌‌‌‌문화다양성을 만드는 완주사람들
‌‌  
‌‌‌‌‌‌‌‌‌‌‌문화다양성 주간행사
‌‌ 
‌‌‌‌‌‌‌‌‌‌‌완주문화다양성 찾기
‌‌ 
‌‌‌‌‌‌‌‌‌‌문화다양성 널리 알리기
‌‌ 
‌‌‌‌‌‌‌‌‌‌‌완주문화다양성 정책 밑그림 그리기
‌‌